반응형 행정규칙2 행정기관 내부의 행정규칙 은 국민에게 효력이 없다는 대법원 판례 행정처분은 국가의 행정기관이 개인이나 단체에 대해 권리나 의무에 영향을 주는 결정을 내리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과정은 명확한 법적 기준과 절차를 요구하며, 그 적용 사례는 다양한 법리적 논쟁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행정처분의 법적 기준과 함께, 행정기관 내부의 지침의 효력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차 행정처분의 법적 기준 행정처분은 주체, 내용, 절차, 형식의 요건을 모두 갖추어야 합니다. 행정기관이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그 결정은 법적 효력을 상실하거나 적법하지 않게 될 수 있습니다. 행정의사의 외부 표시와 처분의 성립 행정처분은 그 성립시가가 , 행정의사가 외부에 명확히 표시되고, 그에 따른 구속력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처분이 성립합니다. 이는 행정청이 자유롭게 취.. 2024. 3. 23. 행정기관의 업무처리지침과 행정규칙이 일반 국민을 구속하지 못하는데... 대법원 2021. 10. 14. 선고 2021두39362 판결 〔정이사선임처분취소〕 판례 요약 [1] 임기가 만료된 학교법인의 이사에게 후임이사가 선임될 때까지 종전의 직무 를 계속하여 수행할 긴급처리권이 인정되는지 여부(원칙적 적극) 및 위 긴급 처리권에 후임 정식이사 선임에 관여할 권한이 포함되는지 여부(적극) / 관할 청이 구 사립학교법 제25조의3에 따라 정식이사를 선임할 때 퇴임한 정식이 사들의 긴급처리권에 구애받지 않고 공석이 있는 이사 정수 전원에 대하여 정식이사 선임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2] 행정기관 내부의 업무처리지침이나 법령의 해석․적용 기준을 정한 행정규칙 이 대외적 구속력을 갖는지 여부(소극) 및 처분이 행정규칙에 적합한지에 따라 처분의 적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지.. 2021. 12. 9. 이전 1 다음 반응형